react (3) 리스트형 프로젝트 초기 셋팅하기 (CRA와 Backend 분리하기) /* 정보 전달 목적의 글 보다는 공부하면서 기억하기 위해 적는 글입니다. 따라서 깊이가 얕으며, 잘못된 정보가 있을 수 있습니다. */ 아래 사진처럼, goodfaithbox(만들고자하는 프로젝트명)라는 폴더안에 frontend 폴더와 backend폴더를 만들어서 각각 진행하고자 한다. 이 때, frontend는 CRA를 이용하여 만들 예정이다. 지금부터 초기 셋팅을 시작해보자! 1. 우선 github에서 repository를 만들어준다. 2. 로컬에서 goodfaithbox 폴더를 만들고, 해당 폴더로 이동한 후 git init을 해준다. 3. .gitignore, readme.md, .gitmessage.txt를 작성한다. .gitignore # See https://help.github.com/a.. CRA 폴더 밖에서 .gitignore 을 작성했음에도 반영이 안되는 경우 현재 내 프로젝트는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. 따라서, gitignore을 다음과 같이 작성해주었는데, 계속해서 node_modules에 있는 애들을 tracking을 하고 있었다. # dependencies node_modules /.pnp .pnp.js CRA로 만들어둔 frontend 폴더에 자동적으로 .git 이 들어가있었기 때문에 해당 문제가 발생했었다. 무지성 git add . 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깃에서 친절하게 알려준다. warning: adding embedded git repository: frontend hint: You've added another git repository inside your current repository. hint: Clones of the o.. [React] 부모-자식 컴포넌트 간의 데이터 전달 방법 1. 부모에서 자식으로 데이터 전달하는 방법 → props를 이용한다. *props란, properties를 줄인 표현으로 컴포넌트 속성을 설정할 대 사용하는 요소이다. 부모 컴포넌트에서 설정할 수 있으며, 부모에서 자식으로만 데이터를 줄 수 있다. (자식이 props를 통해 부모에게 데이터를 줄 수 없다는 뜻이다.) Parent.js import React, { useState } from 'react' import Child from './Child'; const Parent = () => { const [number, setNumber] = useState(0); const onClick = () => { setNumber(number + 1); } /*number가 props다.*/ return .. 이전 1 다음